[차이나워치] 주중 북한대사관 '김정일 10주기' 추모…중국 고위급 참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10주기를 계기로 북한과 중국이 우호를 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김정일 위원장의 추모행사가 열린 주중 북한대사관에 고위급 인사를 대표로 파견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 베이징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추모행사는 언제 열린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주중 북한대사관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10주기 추모행사가 열린 건 어제(16일) 오후입니다.<br /><br />리룡남 북한 대사 주재로 열린 추모행사에 중국은 왕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매체에 따르면 왕 부위원장은 리 대사를 만나 "김정일 위원장이 북·중 관계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북한과 전통적인 우호 관계는 물론, 지역의 평화와 안정, 번영을 수호하며, 양국 인민을 더욱 행복하게 할 것을 희망한다고도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리 대사도 북·중 관계 진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왕 부위원장의 행사 참석 외에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명의로 헌화하는가 하면, 북한주재 중국 대사를 통해서는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에도 꽃바구니를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역대 김정일 사망과 관련해 별도의 행사가 개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0주기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겠지만, 이번에 별도로 행사를 마련하고 중국에서도 고위급 인사가 방문한 데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으로서는 중국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역시 미국의 강력한 공세 속에서 우방과의 관계 강화가 필요한 만큼 이번 행사가 양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북한 대사가 주최하는 행사에 중국이 전인대 상무위 부위원장급 인사를 보낸 것을 두고는 북·중 간 우호 관계를 존중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서 북한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한 의도라는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깊어지는 미중 갈등 양상 속에서 북한은 노골적으로 '중국 편들기'에 나서며 밀착 행보를 보여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우회적으로 비난하는가 하면, 이달 초 미국의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를 두고는 "내정간섭의 도구"라며 중국을 지원 사격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은 양국 국경일을 비롯해 계기마다 축전을 교환하는 등 우호를 과시해 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미국이 이번에는 중국 정부 기관과 기업에 대한 무더기 제재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도 신장 위구르족 인권탄압을 이유로 들지 않았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상무부 산업보안국은 중국을 포함해 말레이시아와 터키 등 모두 37개 기관과 기업에 대한 수출 제재 방침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"생명공학과 의학은 생명을 구하는 데 목적이 있지만, 중국은 이를 종교와 인종적 소수자를 억압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"고 제재 이유를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제재 대상에는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의학연구원을 비롯해 산하 11개 연구소가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국토안보부는 신장 위구르족을 탄압하는 데 중국 정부와 협력하는 단체들의 명단도 만들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하원에 이어 상원 의회는 강제 노동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중국 신장지역에서 만들어진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'위구르족 강제 노동 금지법'을 처리했습니다.<br /><br />신장에서 제조되는 상품을 강제노동 생산품으로 전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, 이에 따라 신장산 물건의 수입은 모두 금지됩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미국 정부와 의회가 신장 문제를 고리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려는 것이라며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발전을 막기 위해 반복적으로 정치적인 조작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 "인권을 앞세워 정치적 공작과 경제적 횡포를 일삼는 것은, 신장을 통해 중국을 제재하고 발전을 억제하려는 것입니다. 그들의 사악한 음모는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신장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두고 중국은 유럽과도 충돌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달 예정됐던 유럽연합 EU와 중국 간 연례 정상회담도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신문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내용인데요.<br /><br />연말로 예정됐던 EU와 중국의 연례 정상회담이 내년 1월로 연기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소식통은 인권과 경제, 무역에 관한 의견 불일치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미중 전략경쟁 속에서도 중국과의 관계에서 비교적 실용적 접근을 해 온 EU가 중국과 관계가 틀어지게 된 것은 신장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하면서부터입니다.<br /><br />EU는 지난 3월 위구르족 탄압 책임을 물어 중국에 대한 제재를 결정했는데, EU가 인권 문제로 중국을 제재한 것은 지난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처음이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대만 문제를 두고도 EU와 갈등을 빚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리투아니아가 지난달 '대만 대표처' 개설을 허용한 데 대해 중국이 강력 반발했지만, EU는 리투아니아를 두둔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유럽 정치권에서는 반중 정서가 강하게 분출되는 가운데, 최근 유럽 국가 의원들이 대만을 공식 방문하는 일이 이어지면서 중국과의 관계가 껄끄러워지고 있는 상황도 연례 정상회담이 미뤄지는 이유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